어깨,고관절 내회전 외회전?

안녕하세요
오늘 알아볼 내용은

어깨, 고관절의 내회전, 외회전

입니다.

운동 인구가 늘어나면서

회원님들의 웨이트 트레이닝에 대한 관심도

많이 늘어 난 것 같습니다!

그러다 보니 많은 분들이 운동에 대한

접근방법이 좀 더 디테일 해진 것 같은데요.

관절의 움직임을 이야기 할 때 가장 많이 나오는 움직임인

내회전, 외회전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

내회전과 외회전?

기본적으로 내회전, 외회전 이라고 하면

어깨와 고관절에서의 회전을 의미하게 되는데요

※출처 : The Effects of Body Positions and Abduction Angles on Shoulder Muscle Activity Patterns during External Rotation Exercises

어깨 관절에서의 내회전(Internal rotation) 과 외회전(external rotation)

※출처 : Are Your Hips The Reason For Your Low Back Pain In Your Golf Swing? – Simon Spine

고관절에서의 내회전(Internal rotation) 과 외회전(external rotation)

최대한 쉽게 설명 드리면!

어깨 관절의 경우

팔꿈치를 구부려 든 상태에서

팔이 아래로, 안으로 (내회전)

팔이 위로, 밖으로 (외회전)

고관절의 경우

허벅지 무릎뼈가 안쪽을 보게 되는 경우(내회전)

무릎뼈가 바깥쪽을 보게 되는 경우(외회전)

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왜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운동 시 이 움직임을 중요하게 생각할까요??

우선

어깨관절인체에서 가장 가동 범위가 큰 관절로,

상지의 다양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합니다.

어깨 관절의 내회전과 외회전

팔의 다양한 활동(ex: 물건을 잡거나 던지는 동작)에 필수적입니다.

어깨의 회전근개(rotator cuff) 근육(특히 견갑하근, 극하근 등)은

내, 외회전에 관여하며,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이 근육들의 움직임에 제한이 생긴다면,

내회전과 외회전 가동 범위가 제한되므로

어깨충돌증후군이나 회전근개 파열 같은 부상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고관절의 내회전과 외회전

고관절체중을 지탱하며, 걷기, 달리기, 앉기와 같은

하체 움직임의 중심이 되는 관절입니다.
이처럼 골반의 위치를 조절하여

자세와 균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고관절 회전 가동 범위가 부족하면

무릎, 허리, 발목에 과도한 부하가 걸려 부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예: 무릎 통증, 요통).

많은 분들이 허리통증이나 무릎통증을 느낄때

고관절의 가동 범위 부족이 이유인 경우가 꽤나 많습니다!

어깨 관절과 고관절의 움직임 내, 외회전을 제외하고도

내전, 외전, 신전, 굴곡 등 다양한 움직임이 있습니다.

저희 몸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죠..

다음 포스팅에서는 두 관절의 모든 움직임과

도움되는 운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